본문 바로가기
728x90

분류 전체보기412

취업규칙이란? 정의 : 회사가 근로자의 복무규율과 임금 등 근로자 전체에 적용될 근로조건에 관한 사항을 규정한 것 보통 회사에서 사규, 인사규정, 복무규정, 다양한 용어로 불리어 지고 있음. 상시 10인 이상의 근로자를 고용하는 사용자는 취업규칙을 작성해 관할 노동부에 신고할 의무가 있음 필요 기재사항 1. 업무의 시작과 종료시각, 휴게시간, 휴일, 휴가 및 교대근로 사항 2. 임금의 결정, 계산, 지급방법, 임금의 산정기간, 지급시기, 승급사항 (각종 수당의 계산 및 지급방법 포함) 3. 최저임금, 퇴직금 관련 사항 4. 육아휴직, 출산휴가 관련사항 5. 사업장의 안전 및 보건에 관한 사항 6. 산재관련 사항 7. 그 외 사업장의 근로자 전체에 필요한 사항 등. 참고) 1) 취업규칙을 변경시 근로자의 과반수 의견을 .. 2020. 2. 21.
여행영어- 공항 여권 : passport (May i see your passport card ?) 탑승권 : boarding pass 방문목적 : the purpose of your visit --> sightseeing or business or vacation What's the purpose of your visit ? - I am here for a vacation 수화물 찾는 곳 : baggage claim area 표는 baggage tag 기내에서 on the plane // 기내 수화물 : carry on baggage 탑승수속 : check in // 탑승하다 : board the plane 세관신고서 : customs declaration card 세관신고서를 작성하다 : fill out the de.. 2020. 2. 16.
주당 근로시간 52시간 변경관련 주요사항 근로시간 단축으로 인하여 추가 연장근무를 하지 못하므로 인하여, 생산 차질 및 납품 지연, 추가 고용에 따른 인건비 증가(4대보험 및 퇴직금외 반영시 추가 부담)이 발생하고, 직원입장에서는 근로시간 단축으로 인하여 연장근로를 (1.5배) 못함으로 인하여 급여가 감소되는 부분이 발생합니다. 주요 변경되는 사항 1. 1주간 최대 근로시간 68시간 ---> 52시간으로 변경 (소정근로시간 40시간 + 연장/휴일 12시간으로 제한) 2. 기업규모에 따라 단계적으로 시행 300인 이상 : 2018.7.1 50인 이상~300인 미만 : 2020.1.1 5인 이상~50인 미만 : 2021.7.1 3. 관공서의 공휴일에 대해서 유급휴일로 변경 300인 이상 : 2020.1.1 30인 이상~300인 미만 : 2021.1.. 2020. 2. 11.
산재보험에 대한 잘못된 상식!!! 산재보험에 대한 잘못된 상식 1. 근로자 과실여부에 대한 사항 - 산재보험은 사회보험의 성격을 갖는 것으로 근로자에게 과실이 있다하더라도 산재보상을 받을수 있습니다. 2. 회사의 인정여부 - 업무상 재해여부를 판단하는 권한은 근로복지공단에서 가지고 있는 것이므로 사업주가 재해이다, 아니다라고 판단하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3. 산재가 발행하면 회사가 모든것을 다 처리해준다. - 근로자가 재해를 당한 경우에는 법적으로 보상청구 권한은 재해를 당한 근로자와 그 유족만이 행사 할수 있으며, 사업주는 재해자가 사고로 인하여 보험급여의 청구등의 절차를 행하기가 곤란한 경우에 조력한 의무를 진다. 4. 산재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사업장에서 산재 발생시 보상여부 - 산재보험에 가입해야 할 사업주가 가입하지 않은 경우 .. 2020. 2. 8.
728x90
320x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