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자기개발221

무급휴일과 무급휴무일 차이점은 ? 무급휴무일 1) 근로의 의무가 없는 날 즉, 출근할 의무도 없고 임금도 지급되지 않는 날 2) 토요일을 휴일로 한다는 명시적인 약정(취업규칙 등) 없다면 토요일은 휴일이 아닌 휴무일 이 됨 3) 휴무일(토요일)에 근로하면 휴일근로수당은 발생하지 않으나 휴무일 근로로 인하여 주 40 시간이 초과되면 연장근로 수당이 발생하게 됨 연장근로 제한 (주당12시간, 근기법 제 53조) 고려 무급휴일 1) 취업규칙등 당사자간 합의로 특정일을 휴일로 하되 무급으로 하기로 한 날 2) 무급휴일은 근로하면 휴일근로이므로 휴일근로수당이 발생하나 다만, 연장근로에 해당되지 아니함 무급휴무일 대비 주당 실근로시간을 많이 활용가능 구분 무급휴무일 무급휴일 설정방법 명시적 약정이 없는 경우 명시적 약정 필요(취업규칙등) 근무시 연.. 2020. 2. 24.
핑크퐁 영어 동화 - The happy prince 내용이 은근히 슬퍼요 T T 2020. 2. 22.
퇴직연금제도에 대한 사항 퇴직연금제도는 기업이 금융기관에 퇴직금을 적립하고 근로자가 퇴직할 때 일시금 또는 연금형태로 선택하여 수령할 수 있는 제도 종류 1) 확정급여형(DB 형) : 일반적인 퇴직금 형태 (퇴직전 3개월 평균임금 * 근로년수) 사용자가 운용 2) 확정기여형(DC형) : 사용자가 내야하는 부담금(임금총액의 1/12)은 정해져 있고 근로자가 적립 운용. 3) 개인형 퇴직연금제도(IRP형) : 연말정산 때문에 근로자들이 많이 가입하고 있는 추세. 퇴직연금 제도가 기존의 퇴직금 제도와 다른점은. 퇴직금은 사전에 적립 부담은 없고 퇴직시에 부담 퇴직연금은 매년 1회이상 정기적으로 납부하여 적립. 2020. 2. 22.
취업규칙이란? 정의 : 회사가 근로자의 복무규율과 임금 등 근로자 전체에 적용될 근로조건에 관한 사항을 규정한 것 보통 회사에서 사규, 인사규정, 복무규정, 다양한 용어로 불리어 지고 있음. 상시 10인 이상의 근로자를 고용하는 사용자는 취업규칙을 작성해 관할 노동부에 신고할 의무가 있음 필요 기재사항 1. 업무의 시작과 종료시각, 휴게시간, 휴일, 휴가 및 교대근로 사항 2. 임금의 결정, 계산, 지급방법, 임금의 산정기간, 지급시기, 승급사항 (각종 수당의 계산 및 지급방법 포함) 3. 최저임금, 퇴직금 관련 사항 4. 육아휴직, 출산휴가 관련사항 5. 사업장의 안전 및 보건에 관한 사항 6. 산재관련 사항 7. 그 외 사업장의 근로자 전체에 필요한 사항 등. 참고) 1) 취업규칙을 변경시 근로자의 과반수 의견을 .. 2020. 2. 21.
728x90
320x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