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자기개발221 임금피크제 시행시 퇴직연금 DB형에서 DC형으로 변화를 줘야하는 이유 ? 임금피크제 시행시 퇴직연금 DB형에서 DC형으로 변화를 줘야하는 이유 ? 임금피크제는 근로자의 연령이 일정수준 이상이 된 경우 근로수준을 감소시키는 대신에 근로를 더 할수 있도록 노사가 협의하여 시행하는 제도입니다. 다만 퇴직금에 영향을 주는 관계로 근로자가 스스로 퇴직금 및 퇴직연금에 대해서 신경을 써야 합니다. 퇴직연금은 퇴직금 관리 주체에 따라 DB형과 DC형으로 분류가 됩니다. DB형 운영시 퇴직금 계산은 평균임금의 30일 * 근로연수인 관계로 임금피크제로 전환시 평균임금 감소로 인하여 퇴직금액이 줄어들게 됩니다. 평균임금은 퇴사전 3개월의 급여의 평균인 관계로 임금피크제일 경우 평균임금이 감소하게 됩니다. 임금피크제 전환전 DC 형으로 전환하여 나의 소중한 퇴직금을 지킬 필요가 있습니다. DC형.. 2023. 6. 27. 사직서를 내고 출근하지 않으면 퇴직금 금액이 줄어들수 있나요 ? 사직서를 내고 출근하지 않으면 퇴직금 금액이 줄어들 수 있나요.? 사직서를 내고 출근하지 않으면 1년이상 근무자인 경우 퇴직금 금액이 줄어들게 됩니다. 사직서를 내고 사업장에서 수리하지 않으면 사직서를 제출한 날로부터 한달후에 퇴직효력이 발생을 합니다. 1달이 지나기 전에 출근하지 않으면 무단결근이 되어 평균임금 계산시 금액이 줄어들어 퇴직금 금액이 줄어들게 됩니다. 참고적으로 사직 사유가 회사사정으로 인한 사유로 인하여 실업급여 수급자격이 되는 근로자일지라도 무단결근으로 인한 사유로 퇴사처리가되는 경우 퇴직금 금액이 줄어드는 부분 및 실업급여 수급자격에도 제한이 되는 점을 알고 대처해야 합니다. 2023. 6. 26. 퇴직금 계산시 필요한 평균임금 계산이 중요한 이유 퇴직금 계산시 필요한 평균임금 계산이 중요한 이유 근로자들은 평균임금 및 통상임금에 대한 개념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경우가 많습니다. 퇴직금은 퇴직일을 기준으로 직전 3개월간의 임금을 평균한 1일의 평균임금으로 계산하게 되어 있습니다. 1) 평균임금은 기본급이나 성과급, 복리후생성 급여라고 하더라도 모든 직원에게 동일한 금액으로 지급하는 모든 급여보전성 수당은 평균임금에 포함하여 산정하여야 합니다. 시간외 근로수당도 포함이 됩니다. 2) 상여금은 년간 나눠서 지급하는 경우에도 1년의 총합계에서 30%를(3개월)로 나눠 계산해야 합니다. 3) 단. 불특정하게 지급하는 성과급은 제외합니다. 4) 연차수당도 당연히 포함이 되어야 합니다. 평균임금을 산정이 되었다면 평균임금에서 * 30일 * 근무한 연수로 퇴직.. 2023. 6. 25. 트렌드 변화로 인하여 새로운 수요를 창출할수 있는 방법 트렌드 변화로 인하여 새로운 수요를 창출할수 있는 방법 경제 및 기업 금리인상 등 글로벌 세상에서 다양한 제품 및 수요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새로운 수요를 창출해내기 위한 방법에 대해서 많은 마케터 및 유통기업에서 고민을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소비자는 기존 가지고 있는 제품에 대해서 불량 및 고장으로 인한 교체에 대한 수요가 있고, 또한 스마트폰처럼 신기술이 적용된 제품 출시로 인한 교체수요가 있습니다 기존 사용하고 있는 제품에 대해서 구매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기존 제품대비 새로운 기술이 적용되어 소비욕구를 불러일으켜야 합니다. 기업에서는 버전 업그레이드를 많이 시도를 합니다. 캘럭시 시리지, 애플 시리지처럼 기술의 변화로 인하여 계속적인 구매유도를 일으킵니다. 애플이 전세계 소비자를 상태로 애플 생태.. 2023. 6. 17. 이전 1 2 3 4 5 6 7 ··· 56 다음 728x90 320x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