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전체 글411 발목 골절에 치료 및 회복방법에 대해서 발목 골절에 치료 및 회복방법에 대해서 회사에서 미끄러져서 발목에 뼈가 부러졌습니다. 넘어졌을 때 뼈가 뚝뚝 소리가 나고 통증이 살짝 오기는 했지만, 병원 갈 정도는 아닌거 같아서 하루는 그냥 보내고 그 이후 멍이 들기 시작하여 병원을 가서 진단을 받았습니다. 단순 타박상을 생각했는데 뼈가 부러져서 살짝 당황을 한 기억이 납니다. 6주 채워서 깁스는 풀었습니다. 회사출퇴근이 완전 힘들었네요. T T6주간은 조심해야 한다고 하비다. 뼈가 완전히 붙을때까지는 3~6개월 걸린다고 하고요. 걷는게 아직도 불편하지만 목발없이 다닐수 있어서 그나마 혼가분하기는 하네요. 왜 이렇게 호전이 되지 않는거 같아 발목 골절에 대해서 내용을 찾아보았습니다. 발목 골절의 회복 기간은 골절의 정도와 치료 방법에 따라 다.. 2025. 4. 5. 2025년에는 근로기준법과 변경된 사항 및 연도별 최저임금 변화 추이입니다. 2025년에는 근로기준법과 변경된 사항 및 연도별 최저임금 변화 추이입니다. 근로자로서 최소한의 사항에 대한 내용을 인지해야지 부당한 대우를 받지않는 것 같습니다. 1. 최저임금 인상 시간당 최저임금이 10,030원으로 인상되었습니다. (1.7% 증가) 주 40시간 근무 기준 월 환산 급여는 2,096,270원입니다 2. 주 52시간제 적용 확대 30인 미만 사업장에 대한 주 52시간제 시행 계도기간이 종료됩니다 3. 육아 관련 제도 개선 1) 육아휴직 급여 상한액이 150만원에서 최대 250만원으로 인상됩니다 2) 육아휴직 기간이 1년에서 1년 6개월로 연장됩니다 (특정 조건 충족 시) 3) 육아휴직 분할 사용 횟수가 3회에서 4회로 증가합니다 4)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사용 가능 기한이 자녀 연령.. 2025. 4. 3. 올해 2025년 5월1일 근로자의 날 근무시 월급제, 시급제 근로자의 급여 계산 방법은 ? 올해 2025년 5월1일 근로자의 날 근무시 월급제, 시급제 근로자의 급여 계산 방법은 ?저희 회사는 매년 근로자의 날의 근무시 대체 휴일이 되는지에 대해서 매년 같은 부분으로 논쟁은 있었지만결론은 근로자의 날은 대체휴일로 다른날짜로 휴무를 바꾸는 것은 안되는 걸로 결론이 나서 휴무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대표 및 임원직들이 당연히 쉬어야 하는 날을 무시하는 경향이... 월급제 및 시급직 근로자 급여계산 차이 입니다. 1. 월급제 근로자① 근무하지 않은 경우: 월 급여의 100% 지급 (유급휴일수당이 이미 월급에 포함되어 있음) ② 근무한 경우: 월 급여 100% + 휴일근로수당 추가 지급③ 휴일근로수당 = 통상임금 × 근로시간 × 1.5 8시간 초과 근무 시 초과분에 대해 통상임금의 200% 지급.. 2025. 4. 2. 입사일 기준 및 회계연도 기준 연차 계산법은 어떻게 다른가요. 입사일 기준 및 회계연도 기준 연차 계산법은 어떻게 다른가요. 연차 계산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입사일 기준과 회계연도 기준입니다.퇴사할때는 입사일기준으로 산정을 다시하여 근로자에게 불이익나는 부분이 없는지에 대해서는 인사부서에서는 확인작업이 필요합니다. 1. 입사일 기준 연차 계산1) 1년 미만 근로자:입사 후 1개월 동안 80% 이상 출근 시 매월 1일의 유급휴가가 발생합니다.첫 해에는 최대 11일의 유급휴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예) 2024년 1월 1일에 입사한 경우, 2024년 2월부터 매월 1일씩 발생하여 같은 해 12월까지 총 11일이 생깁니다. 2) 1년 이상 근로자:1년 동안 80% 이상 출근한 경우, 다음 해에 15일의 유급휴가가 발생합니다.이후 2년마다 1일의 유.. 2025. 4. 1. 이전 1 2 3 4 ··· 103 다음 728x90 320x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