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올해 2025년 5월1일 근로자의 날 근무시 월급제, 시급제 근로자의 급여 계산 방법은 ?

by 나답게 살자 2025. 4. 2.
728x90
반응형

 

올해 202551일 근로자의 날 근무시 월급제, 시급제 근로자의 급여 계산 방법은 ?

저희 회사는 매년 근로자의 날의 근무시 대체 휴일이 되는지에 대해서 매년 같은 부분으로 논쟁은 있었지만

결론은 근로자의 날은 대체휴일로 다른날짜로 휴무를 바꾸는 것은 안되는 걸로 결론이 나서 휴무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대표 및 임원직들이 당연히 쉬어야 하는 날을 무시하는 경향이... 

 

 

월급제 및 시급직 근로자 급여계산 차이 입니다. 

 

1. 월급제 근로자

근무하지 않은 경우: 월 급여의 100% 지급

(유급휴일수당이 이미 월급에 포함되어 있음)

 

근무한 경우: 월 급여 100% + 휴일근로수당 추가 지급

휴일근로수당 = 통상임금 × 근로시간 × 1.5

 

8시간 초과 근무 시 초과분에 대해 통상임금의 200% 지급

 

시급제/일급제 근로자

근무하지 않은 경우: 유급휴일수당 100% 지급

 

근무한 경우: 유급휴일수당 100% + 휴일근로수당 150% 지급

 

단시간 근로자

유급휴일수당은 상용직 직원에 비례하여 계산

 

: 38시간씩 근무하는 경우

1일 소정근로시간 = (8시간 × 3) ÷ 5= 4.8시간

유급휴일수당 = 4.8시간 × 통상임금(시간급)

 

주의사항

5인 미만 사업장: 가산수당 지급 의무 없음. 근무 시 일반 휴일근로수당만 지급

휴일대체 불가: 근로자의 날은 법정유급휴일로 휴일대체 불가능

입사일 기준: 51일 현재 재직 중인 직원에게만 적용

 

 

 

 

반응형